근래에 부산에 자주 가게 되었는데,

버스를 타고 다니다 문득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젊은 사람은 보이지 않고 대부분 나이든 사람만이 오고 가고,

길도 왠지 어둡고 좁아 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산에 갈 때 마다 살펴 보다,

예전에는 부산역에서 동쪽 위주로 다녀서 몰랐지만

서쪽, 즉 구도심 뒤쪽으로 가니 거의 나이든 사람만이 보이는 것 같았다.


출처: namu1973.tistory.com/508


시골처럼 도시도 노인들만이 사는 지역이 있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을 찾아봤지만, 없는 것인지 찾지 못한 것인지 헤매다,

통계청 자료가 생각나서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정리해 봤다.


자료: 통계청(국내통계) : 인구총조사 > 인구부분 > 총조사인구(2016) > 전수부문 > 연령 및 성별 인구 – 시군구 자료


부산의 연령대별(2016년 기준) 데이터를 찾아서

다음과 같이 부산의 지역 구 별로 노인(65세 이상)의 비율을 계산해 봤다.

비율 = 구 연령층 인구 / 구 전체 인구


연령별 인구 비율

연령별 인구


0~29

30~64

65세 이상

0~29

30~64

65세 이상

합계

강서구 33% 56% 11.0%     32,601     56,316     11,036     99,953
금정구 32% 52% 16.0%     77,591   126,911     38,970   243,472
기장군 33% 54% 13.4%     49,405     81,929     20,358   151,692
남구 32% 52% 16.2%     86,918   144,179     44,569   275,666
동구 24% 53% 23.0%     20,403     45,240     19,647     85,290
동래구 30% 55% 15.2%     77,876   143,511     39,580   260,967
부산진구 30% 54% 15.9%   111,138   198,067     58,608   367,813
북구 32% 56% 12.6%     95,933   167,541     38,080   301,554
사상구 31% 56% 13.2%     71,025   128,349     30,275   229,649
사하구 31% 55% 14.1%   101,580   179,237     46,000   326,817
서구 26% 52% 21.3%     28,478     56,684     23,035   108,197
수영구 27% 55% 17.8%     46,571     94,238     30,433   171,242
연제구 29% 55% 15.6%     59,041   110,033     31,221   200,295
영도구 28% 51% 20.9%     34,540     64,193     26,136   124,869
중구 24% 55% 21.5%     10,163     23,391      9,176     42,730
해운대구 31% 55% 13.7%   126,041   222,600     55,459   404,100

동구, 중구, 서구, 영도구의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20%가 조금 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모두 내가 지나갔던 구도심 주변 지역들이었다.


한 국가의 총 인구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라고 하고,

우리나라는 고령 사회(14%)로 2026년에 초고령사회(20%)가 된다고 한다.

그런데, 부산의 4개 구는 이미 초고령사회이고 (2016년 자료)

대부분 고령 사회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인구 수로는 해운대구와 부산진구 등이 더 많았지만

비율로는 이 4 개의 구가 더 높았다.

해운대구와 부산진구등은 모든 연령대의 인구 수가 많았다.

(최근에 재개발된 지역이 많다고 하는데, 구가 아닌 동으로 정리하면 재미있는 정보가 있을 것 같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서울 자료를 정리해 봤다.

서울은 대부분 14% 미만이었고,

중구, 종로구 등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서울시 평균도 13.3%로 부산의 16.3%보다 아주 적었다.

나는 서울에 살고, 부모님은 부산에 사는 모습과 같았다.


연령별 인구 비율

연령별 인구


0~29

30~64

65세 이상

0~29

30~64

65세 이상

합계

강남구 33% 56% 11.1%   170,605   295,577     58,302   524,484
강동구 31% 57% 12.1%   132,167   240,319     51,037   423,523
강북구 29% 55% 16.5%     89,398   170,930     51,589   311,917
강서구 31% 57% 12.0%   178,176   319,904     67,888   565,968
관악구 33% 54% 13.0%   163,763   263,769     63,650   491,182
광진구 34% 55% 11.4%   116,473   190,413     39,590   346,476
구로구 31% 56% 13.3%   123,430   224,774     53,431   401,635
금천구 30% 57% 13.6%     66,399   126,001     30,390   222,790
노원구 34% 54% 12.4%   185,252   297,311     68,166   550,729
도봉구 30% 55% 14.6%   101,439   183,879     48,847   334,165
동대문구 32% 53% 14.7%   111,183   182,128     50,433   343,744
동작구 33% 54% 13.5%   127,223   209,003     52,438   388,664
마포구 33% 55% 12.4%   118,555   199,925     45,261   363,741
서대문구 34% 52% 14.5%   104,703   159,077     44,639   308,419
서초구 33% 55% 11.5%   136,294   229,205     47,516   413,015
성동구 32% 55% 13.0%     90,411   157,394     36,930   284,735
성북구 34% 53% 13.8%   148,117   230,869     60,637   439,623
송파구 32% 57% 10.9%   200,279   350,679     67,508   618,466
양천구 33% 56% 11.0%   151,694   253,113     49,814   454,621
영등포구 30% 56% 13.8%   105,111   197,035     48,217   350,363
용산구 29% 56% 14.9%     61,693   116,784     31,233   209,710
은평구 30% 55% 14.5%   142,031   257,059     67,723   466,813
종로구 33% 52% 15.4%     47,095     74,736     22,218   144,049
중구 30% 55% 15.3%     35,095     64,760     18,105   117,960
중랑구 30% 56% 13.7%   117,401   222,343     53,803   393,547

내침 김에 광주, 대구, 대전, 인천도 확인해보니

65세 인구 비율이 19%가 넘는 아주 높은 지역이 있었지만

13.2%, 14.7%, 11.9%, 14.5%로 도시 평균이 낮았다.

65세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대부분 구도심으로 생각된다.

(비율이 너무 높은 인천의 강화군과 옹진군은 농사짓는 곳으로 봐야 할 것 같은데…)



연령별 인구 비율

연령별 인구



0~29

30~64

65세 이상

0~29

30~64

65세 이상

합계

광주 광산구 40% 52% 8.0%   160,274   211,062     32,485   403,821
남구 33% 52% 14.7%     73,355   113,461     32,289   219,105
동구 31% 49% 19.6%     31,176     49,111     19,540     99,827
북구 35% 52% 12.2%   158,535   234,664     54,749   447,948
서구 35% 54% 11.5%   106,908   164,794     35,453   307,155
대구 남구 27% 53% 19.3%     42,339     82,387     29,858   154,584
달서구 35% 55% 10.6%   202,634   321,795     62,471   586,900
달성군 34% 55% 11.3%     69,599   113,606     23,347   206,552
동구 30% 54% 16.1%   100,781   184,308     54,534   339,623
북구 35% 53% 11.5%   155,655   234,957     50,624   441,236
서구 27% 56% 16.9%     53,208   108,304     32,877   194,389
수성구 34% 53% 12.8%   146,077   229,481     55,233   430,791
중구 29% 52% 19.1%     21,826     40,040     14,569     76,435
대전 대덕구 34% 54% 11.8%     66,042   102,979     22,653   191,674
동구 35% 50% 14.8%     83,326   120,626     35,476   239,428
서구 37% 53% 10.0%   178,937   259,741     48,805   487,483
유성구 41% 52% 7.2%   143,000   184,045     25,258   352,303
중구 32% 53% 15.6%     77,244   129,569     38,343   245,156
인천 강화군 21% 49% 29.7%     13,155     30,232     18,371     61,758
계양구 34% 57% 9.2%   109,307   180,692     29,457   319,456
남구 32% 54% 13.8%   129,289   221,917     56,198   407,404
남동구 33% 56% 10.4%   172,036   288,763     53,510   514,309
동구 28% 54% 17.9%     19,096     37,056     12,217     68,369
부평구 33% 56% 11.3%   173,709   297,290     59,745   530,744
서구 35% 56% 8.6%   172,816   276,261     42,110   491,187
연수구 37% 55% 8.2%   118,907   175,267     26,362   320,536
옹진군 25% 53% 22.0%      4,701      9,879      4,104     18,684
중구 32% 55% 13.6%     34,477     59,409     14,815   108,701

지나던 길들이 너무 어둡고(날씨 탓도 있겠지만) 좁은 느낌 속에

대부분의 동네가

내가 어릴 적(30년전) 살던 모습과 바뀐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대부분 일반 주택이 빼곡한 좁은 길이었다.

그래서 부산의 시군구별 주택 종류 자료를 확인했다.



빈도

비율

행정구역별(시군구)

주택

단독주택-일반

아파트

아파트

단독주택-일반

부산광역시

1,174,034

89,663

750,122

64%

8%

   중구

16,590

1,374

5,306

32%

8%

   서구

38,965

8,772

14,458

37%

23%

   동구

30,089

8,433

9,288

31%

28%

   영도구

46,285

8,068

25,441

55%

17%

   부산진구

131,528

12,374

81,825

62%

9%

   동래구

84,217

4,324

53,359

63%

5%

   남구

99,806

9,943

54,940

55%

10%

   북구

104,343

1,087

83,827

80%

1%

   해운대구

139,128

2,799

109,098

78%

2%

   사하구

112,348

6,078

76,369

68%

5%

   금정구

80,635

4,403

43,064

53%

5%

   강서구

33,041

6,408

23,424

71%

19%

   연제구

66,576

4,450

41,632

63%

7%

   수영구

62,169

3,920

33,489

54%

6%

   사상구

74,285

1,571

54,487

73%

2%

   기장군

54,029

5,659

40,115

74%

10%

자료: 통계청(국내통계) : 건설/주택/토지 > 주택 > 주택총조사 > 주택의 종류별 주택 - 시군구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20%가 넘은 동구, 중구, 서구, 영도구 아파트 비율은 30%대에 단독 주택은 30% 미만이었다.

(중구는 상업 시설이 많아서 주택 비율이 낮은 듯…)

서울이나 젊은 사람이 많은 지역은 대부분 아파트가 60% 이상이었다.

주택 종류는 단독주택-일반, 단독주택-다가구, 단독주택-영업겸용,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

여러 가지 있지만 이 분야에 대해 관심도 지식도 없기 때문에

단순하게 주택(일반)만 확인해본 결과,

대부분의 노인이 오래된 주택에 살고 있고, 아파트가 많은 지역에 젊은이들이 사는 것 같다.

(주택과 연령의 관계는 좀 더 세밀한 분석을 해봐야 정확할 것 같다.)


간만에 데이터를 들여다 보며

슬픈 마음도 들지만 재미도 있어서 한가지를 더 진행해 봤다.

제공 데는 데이터가 5년 단위(0~4세, 5~9세)로 제공되어

5년후를 예측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5년후에는 어떻게 되는지 계산해 봤다.


60~64세는 30~64로 묶어서 계산 했는데,

5년 후이니 60~64세를 65세 이상 인구에 넣고

5년간 태어나는 인구를 계산하기 위해 0~4세를 한번 더 더하여 전체 인구를 계산했다.

사망률을 찾아서 계산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만

굳이 정확한 계산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서 생략했다.


2026년에 초고령사회(20%)가 된다고 하는데

부산과 대구는 5년후(2021)에 도시가 초고령사회(20%)가 되고 (다음 표 참조)

부산 동구(31%), 중구(30%)는 30%가 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인천은 강화군, 옹진군이 너무 높게 나와 제외)

 

65세 기준

60세 기준 (5 년후)

 

평균

최대

평균

최대

광주 13% 20% 18% 26%
대구 15% 19% 21% 27%
대전 12% 16% 17% 22%
부산 16% 23% 23% 31%
서울 13% 17% 19% 23%
인천 14% 30% 20% 38%


인구나 노인, 주택등에 대하여 아는 것이 없지만

몇 시간에 걸쳐서 이런 저런 계산을 해보니,

특정 지역(구도심)에 나이 많은 사람들이 살고

개발도 되지 않은 채 예전 모습 그대로 산다는 생각이 맞는 것 같다.

시골에 계신 분들이 평생 살던 그 모습 그대로 사는 것처럼

도시에서도 살던 곳에 그렇게 사는 것 같다.


 


+ Recent posts